반응형

원격 개발 환경 구성 1. 개발용 VM 세팅(feat. 오라클)

I. 개요

  • 데이터 분석과 기초 개발이나 모델링을 위해 노트북 2대를 이용 중이며 이번에 아이패드 1대를 추가로 구매하였습니다.
  • 작업한 모든 결과물은 GIT을 이용하여 관리하며 개인 개발 및 공부용(개인 계정)과 업무용(회사 계정)을 사용 중입니다.
  • 위 두 가지 사유로 아래와 같은 문제와 스트레스가 반복됩니다.
    • 기기를 옮겨갈 때마다 매번 로컬 환경을 새로고침(pull) 할 필요가 있음
    • 이 과정에서 잘못된 계정으로 push/pull 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함
    • 새로운 기기를 구매하거나, 기존 기기에 문제가 생기면 일련의 개발 환경 세팅을 매번 새롭게 해주어야 함
    • 외출 등의 이유로 기기의 접근할 수 없어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들이 종종 존재

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하다가 개발용 서버를 하나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.
요새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워낙 잘 제공되고 있으니 이를 이용해 개발용 VM을 세팅하고자 하였고, 매우 만족하며 사용 중이기 때문에 세팅 과정을 문서화 하여 블로그에 기록합니다.

II. 클라우드 서비스 선정

서비스 선정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가격으로 프리티어로 이용하거나 최대 월 1만 원 내에 사용하고자 하였습니다. 과거에 AWS 서비스를 이용하다 실수로 요금폭탄을 맞은 기억도 있고, 어지간히 좋게 구성하지 않고서는 모델 학습은 제 노트북을 이용하는 게 훨씬 좋을 텐데 괜히 성능 욕심내다간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는 꼴이 될 수 있겠다 싶었습니다.

oracle_perform

  • 고려한 서비스는 AZURE, ORACLE , GCP, 네이버, K-ICT 빅데이터 센터였습니다.
  • GCP와 오라클 두 개를 마지막까지 고민했지만, 프리티어 한도 내에서 오라클이 더 좋은 성능의 환경을 제공하며 고정 ip 를 사용할 수 있는 점 때문에 오라클을 선택하였습니다.
  • 조금 더 고사양의 환경이 필요하신 분에게는 K-ICT 빅데이터 센터에서 대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 (회사 동료분의 추천을 통해 알게 되었는데 굉장히 좋은 환경을 모두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)

III. 오라클 VM 세팅

  • GCP 와 AZURE, AWS에 비해 오라클은 공식 문서도 다소 불친절한 느낌이고, 검색을 해도 나오는 자료가 많이 없었습니다. 제가 한 방법이 best example이 아닐 수 있으니 유의해주세요.

1. 오라클 클라우드 가입

  • 오라클 클라우드 가입은 다른 서비스들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.
  • region 선택 시 한국으로 하셔도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없습니다.
  • 결제 카드 인증이 안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으니 VISA/MASTER 카드를 준비해주셔야 합니다. (프리티어로 제공되는 용량만큼만 사용하기 때문에 요금이 부과될 일이 없으나 다른 서비스 이용 시 결제일에 자동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.)

2. 네트워크 세팅

1) VCN 설정

image

  • 메뉴바(햄버거) 에서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VCN 을 선택합니다.

image

  • VCN 마법사 시작 버튼을 클릭하고 "인터넷 접속을 통한 VCN 생성"이 선택된 상태에서 마법사를 실행합니다.

image

  • 위와 같은 화면이 열리는데, 다른 것은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되고 VCN 이름만 설정합니다.

image

  • 생성을 누르고 잠시 기다리면 위와 같이 생성이 완료되며, 왼쪽 아래 생성된 VCN 보기를 클릭합니다.

orcle3

  • 생성된 VCN 이 확인되면 왼쪽 아래에서 보안 설정을 클릭하고 Default Security List for {VCN name} 을 클릭합니다.

imageimage

  • 수신 규칙 추가를 누르고 위와 같이 규칙을 만들어 추가해줍니다.
  • mosh 연결이 필요한 경우 udp 연결을 추가합니다.

2) IP 설정

image

  • 외부에서 연결하기 위한 ip 설정이 필요합니다.
  • 기본적으로 VM 을 만들면 세션이 실행될 때마다 임시 IP를 생성해주지만,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와 다르게 오라클에서는 이러한 IP도 무료로 할당해주기 때문에 별도로 설정합니다.

image

  • 예약된 공용 IP 를 클릭하여 이름을 적당히 설정하고 생성해줍니다.

3. VM 세팅

1) VM 생성

image

  • 메뉴의 컴퓨트에서 인스턴스를 클릭합니다.

2) VM 이름 설정

orcle1

  • 이름은 원하시는 이름을 입력하시면 됩니다.
  • 구획의 경우 별도 세팅 없이 넘어왔다면 account_name root(루트) 로 되어 있습니다. 만약 네트워크 설정 단계에서 구획을 설정한 상태에서 진행했다면 같게 맞춰줍니다.

3) image 설정

oracle2-1

  • 이미지 및 구성의 섹션을 펼쳐보시면 image와 shape 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oracle2-2

  • 이미지는 오라클 리눅스와 우분투, cento os 가 무료입니다. 이 글에서는 우분투 20.4 를 기준으로 합니다

oracle2-3oracle2-4

  • 프로세서는 프리티어 기준 arm 과 intel 두 가지가 제공되니 골라주시면 됩니다. 이 글에서는 E2 micro 를 기준으로 합니다.

4) 네트워크 설정

image

  • 네트워크는 앞서 생성했던 VCN 을 선택합니다.

image

  • SSH는 이미 생성해둔 key가 있다면 해당 값을, 그렇지 않으면 쌍을 만들어줍니다.
  • ssh 키를 생성하는 방법은 이 글을 참고해주세요.

5) 부트 볼륨 설정

image

  • 부트 볼륨의 경우 100기가까지 무료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넉넉하게 100기가로 설정합니다.
  • 이후 생성을 누르고 잠깐 대기하면 인스턴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다음 게시물에서는 인스턴스에 접속하여 초기 환경을 세팅하는 부분에 대해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.

반응형
복사했습니다!